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Journal of the Korean Econometric Society
Home About    Aims and Scope    Editorial Board Submit Archive Search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JETEM/계량경제학보/計量經濟學報/JKES
Journal of the Korean Econometric Society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서울시민의 정치성향 요인 분석

제36권 제3호, 2025년, 35–60


English Version  | Korean Version
  • 김윤미  (서울시립대학교)

  • 김태환  (연세대학교)

PDF
요약  

본 논문은 2022 년의 횡단면자료를 사용하여 소득,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등의 요인들이 서울시민의 정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소득의 한계효과는 거의 대부분의 소득구간에서 큰 변화가 없다가 최상층의 소득구간에서 급격하게 보수확률이 증가하고, 중도와 진보확률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연령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것과 같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보수화 될 확률이 증가하고 진보화 될 확률이 낮아진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교육의 영향은 단선적이지 않은데, 대학교를 졸업하게 되면 진보확률이 증가하고 보수확률은 감소한다. 반면에, 대학원을 마치고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게 되면 진보·보수확률이 동반상승하고, 중도확률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여성은 남성보다 진보적일 확률이 높을 뿐 아니라, 소득의 한계효과, 연령의 한계효과 그리고 교육의 한계효과에서도 남성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핵심어
   정치성향, 정치성향확률, 한계효과.

JEL 색인 코드
   C25.
Links

KCI
KES
SCOPUS
MathJax